퇴직연금수령방식 20년 넘게 다니고 퇴직연금이 5천만원 좀 넘어요일시불로 받을시 세금이 어느정도
20년 넘게 다니고 퇴직연금이 5천만원 좀 넘어요일시불로 받을시 세금이 어느정도 나올까요..다른 은행이자등 소득이 있다면 합산 될까요 irp계좌를 3년전 가입해서 600만원정도 들어가 있는데 irp계좌로 받아야 하나요 아니면 다른 일반계죄로 받아야 하나요..어느계좌로 받느냐에 따라 소득세등이 차이가 있나요 어떤 통장으로 받느냐에 따라..또 퇴직연금등에 대해서 문의 하려면 어디에 하면 되나요
퇴직연금 수령 방식, 세금, 계좌 선택 총정리
1. 퇴직연금 일시불 수령 시 세금
퇴직연금 일시불 수령 시, 퇴직소득세가 부과됩니다.
20년 이상 근무하셨다면 퇴직소득공제가 꽤 많이 적용돼 세금 부담이 줄어듭니다.
✅ 기본 계산
퇴직소득금액 = [(총 수령액) - (퇴직소득공제)] ÷ 2
→ 여기에 세율(6%~38%)을 적용해 세금을 계산합니다.
✅ 대략적 예상
5천만 원 초과 금액이라도, 실제 과세표준은 절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5%~8% 정도의 실효세율로 과세됩니다.
아주 대략적으로 250만 원 ~ 400만 원 정도 세금이 예상됩니다.
(정확한 금액은 퇴직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을 받아봐야 합니다.)
✅ 중요
퇴직소득세는 다른 근로소득, 금융소득과 합산되지 않습니다.
즉, 은행 이자나 다른 소득이 있어도 별도로 과세됩니다. 합산 걱정은 안 하셔도 됩니다!
2. IRP(개인형 퇴직연금)로 수령할까, 일반 통장으로 받을까?
✅ 두 가지 선택 가능
일반 통장 수령: 일시금으로 바로 받고, 퇴직소득세를 바로 납부합니다.
IRP계좌 수령: IRP에 이체하고, 퇴직소득세를 나중에 조금씩 연금 수령할 때 분산해서 냅니다.
✅ IRP로 받으면 좋은 점
세금 절감 효과 : IRP로 옮기면, 연금처럼 수령할 때 소득세를 3.3%~5.5% 저율 과세 받을 수 있습니다.
세금 이연 효과 : 바로 세금 안 내고, 나중에 천천히 나눠낼 수 있어 절세에 유리합니다.
특히 나이가 들수록 세율이 더 낮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 정리
단기 목돈 필요가 아니라면 IRP로 이체하는 게 대부분 유리합니다.
IRP계좌로 받으면 장기적 세금 혜택이 훨씬 좋습니다.
3. 어떤 통장으로 받느냐에 따라 세금 차이?
✅ 차이 있습니다!
그냥 일반 계좌로 받으면 "퇴직소득세"를 한 번에 납부합니다. (부담 큼)
IRP로 옮기면 연금 수령 시 저율로 과세되어 세금이 줄어듭니다. (부담 적음)
한줄 요약
4. 퇴직연금 관련 문의는 어디로?
✅ 다음 기관에서 상담 가능합니다:
국민연금공단 : 연금 전반 상담 가능 (☎️ 1355)
근로복지공단 : 퇴직급여, 퇴직연금 제도 관련 상담 가능
자신의 퇴직연금 운용기관(은행, 보험사, 증권사 등) : 계좌 이체, 수령 방법, 수수료 등 구체적 상담
추가로, IRP 관리하고 있는 금융사(예: 은행, 증권사)에 직접 문의하면
보다 빠르게 구체적인 절차를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https://ab.sungoldsun.com/2025/04/irp%20retirement%20pension%20receipt%20method.html